유튜버 랭킹Vlog&라이프스타일 사나고 Sanago

페이지 정보
사나고 Sanago (권원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34세(만 33세, 원숭이띠) 1992년 4월 29일 출생 황소자리
2016년 10월 31일 (경력 8년 / 데뷔 3132일차)
180CM / 76KG
INTP
구독자 400만명
동영상 233개
조회수 913,853,978회
국가 KR
가입일 2013년 11월 27일
마지막 채널 정보 업데이트 2025년 5월 27일
대한민국의 유튜버, 스트리머, 사업가.
우왁굳 팬 영상을 만들다 2018년 초부터 3D펜 유튜버 활동을 시작했다. 2018년 10월, 국내 3D펜 유튜버 중 최초로 구독자 10만을 달성했다.
외국 시청자 유입으로 구독자 수가 급증하여 2019년 7월 5일에는 구독자가 60만 명이 됐으며, 7월 7일, 우왁굳의 구독자 수를 넘었다. 그 뒤 닷새 만에 구독자 70만, 이틀 뒤 80만, 그 다음날 90만을 돌파했다. 그리고 마침내 7월 15일 오전 10시 53분경, 100만 구독자를 달성했다. 30만 구독자 이상인 국내 유튜버 성장률 1위에 올랐다. # 2020년 1월, 드디어 구독자 200만을 넘겼다. 2021년 10월 16일 구독자 300만명을 달성했다.
3D펜 유튜버로 활동하기 전, 우왁굳 팬 영상을 만드는 네임드 팬이었다. 팬 영상이 아닌 자신만의 콘텐츠를 시도하던 사나고는 신기해서 사놓고 방치한 3D펜을 이용해 왁두 가면 제작영상을 찍었으며 우왁굳 연말 공모전에 해당 영상을 출품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피규어를 만들면서 3D펜 아티스트 활동을 시작했다.
활동 초기에는 작업에 있어 전체적인 조형은 물론 세부적인 묘사까지도 꽤 신경쓰는 편이지만, 표면처리를 비롯해 조형 이후의 후처리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당시에도 그라인더나 인두기를 사용해 3D 펜의 필라멘트 느낌 자체를 아예 갈거나 녹여서 없애버리고 소재를 붙이거나 깎아서 만든 듯한 매끈하고 날카로운 조형을 만드는 3D 펜 아티스트들이 상당했던 반면, 사나고의 작업물들은 극히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라인더나 인두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아 3D 펜 특유의 필라멘트 질감이 표면에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해당하는 기구들을 아예 쓰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쓰다가 만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적당히 갈아내거나 녹여내 적당히 매끈해졌다고 생각한 뒤에는 더 이상의 처리를 하지 않는다. 다만 일부 작품에서는 그라인더나 인두기를 써서 매끈한 표면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는 것을 보아 3D 펜 특유의 필라멘트 질감 자체를 선호하는 듯 하다.
유튜브에서는 3D펜 아티스트로만 활동하지만, 트위치에서는 시청자들과 담소를 나누거나 게임 방송을 자주 한다. 가끔은 노래방 야외 방송을 한다. 나긋한 목소리가 특징이며, 밉지 않은 노래 실력을 가지고 있다. 고음을 잘 처리한다기보다는 본인의 음색과 음역대를 잘 활용한다. 잠시 자리를 비울 때는 고양이 두 마리가 대신 방송을 맡는다. 고양이를 바보라 부르며 놀리지만 가족처럼 생각하고 정을 많이 쏟는다. 고양이를 다정하게 대하는 모습을 보고 입덕한 사람도 있다.
3D펜으로 만든 물건들을 위주로 삼기에 언어장벽이 낮아 외국 팬들이 굉장히 많다. 또한 여러 국가의 언어로 자막이 달리기 때문에 작품 말고도 입담을 들으러 오는 외국 시청자들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 실제로도 담담한 목소리로 온갖 개드립을 치기 때문에 입담 듣는 맛으로 찾는 사람들도 꽤 있다.
기본적으로는 실내 작업만 해왔으나, 유튜브 규모가 조금 커진 뒤로는 야외 작업도 하기 시작했다.
보통 부서진 벽을 대상으로 작업하며, 첫 야외 작업 때는 그저 벽을 메우는 정도였지만 나중엔 아예 새 조형물을 만들어 부서진 벽을 꾸며주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꾸민 조형물들은 그냥 냅두고 가는 편이지만 다음 날 가보면 철거되어있을 때가 많다고. 야외 작업 특성상 일반인들이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이 대화 내용이 영상에 담기기도 한다.
검, 수리검 같은 무기류의 작품들을 만들고 나서는 거의 오이를 썬다. 우왁굳과의 배터뷰 영상, 쿠나이 만들기 영상에서 사실은 오이를 그다지 싫어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개인방송에서는 오이를 싫어하는 것이 콘셉트라고 밝혔다. 관련 영상 3D펜으로 매화 그림을 그리는 영상에서도 오이를 썰려는 모션을 취했다.
배경음악으로 보통 클래식을 사용하는데, 자주 쓰는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꽃의 왈츠, 비제의 카르멘 中 투우사의 노래, 그리그의 산왕의 궁전에서와 아침의 기분,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푸른 도나우 강 등이 있다. 정작 본인은 사용하는 곡들의 이름을 모른다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